매일 타는 내 차, 어느 날 갑자기 수상한 냄새가 난다면? 가볍게 넘길 수도 있지만 차에서 나는 냄새는 모두 특별한 이유가 있다. 예를 들어 더운 여름 에어컨을 틀었는데 냄새가 난다면 에어컨 필터를 교체해야 된다는 신호다. 하지만 에어컨 필터를 교체해도 냄새가 계속해서 난다면? 이 경우 차량을 더 자세하게 살펴볼 필요가 있다. 내 차에서 보내는 이상 신호, 냄새만 맡을 수 있다면 누구라도 원인을 알아챌 수 있다.
고무 타는 냄새
운전 중 송풍구 쪽에서 고무 타는 냄새가 났다면 배선, 전기 계통의 누전이나 엔진 과열로 인한 문제일 수 있다. 가죽이나 종이 타는 냄새가 난다면 브레이크 점검을 해보길 권한다. 브레이크 라이닝이 타면서 나는 냄새일 수 있다. 언덕길을 내려가거나 속도를 줄일 때 브레이크를 과도하게 사용하면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이 현상이 지속될 경우 브레이크가 밀리는 위험한 상황이 생길 수 있다. 무엇인가 타는 듯한 냄새는 사이드 브레이크를 걸어 놓고 운전하는 경우에도 발생한다.
만약 지금 사용 중인 타이어에 공기압이 낮다면, 주행 시 차량 쏠림과 함께 타이어에서 타는 냄새가 날 수 있다. 고무 타는 냄새가 타이어가 아닌 보닛 쪽에서 난다면 팬 벨트를 체크해보자. 팬 벨트가 늘어지면 구동벨트가 헛돌면서 ‘끼리릭’ 소음과 함께 고무타는 냄새가 날 수 있다. 혹은 벨트로 구동되는 발전기, 에어컨 컴프레셔 베어링 고착으로 벨트가 타면서 나는 냄새일 수 도 있다.
달콤한 냄새
차 안에서 어느 날 갑자기 달콤한 냄새가 난다면 냉각수를 점검해야 한다. 엔진룸에서 누수된 냉각수가 엔진 열에 의해 증발하면서 나는 냄새일 수 있다. 이 냄새는 냉각수 성분인 에틸렌글리콜이라는 성분이 원인인데, 강한 독성 물질이라 오래 맡으면 인체에 유해할 수 있으므로 창문을 모두 열어 환기를 시키면서 정비소로 가야한다.
코를 움켜쥐게 만드는 걸레 냄새
퀴퀴한 냄새가 차 안에 가득하다면 앞 유리의 와이퍼 아랫부분을 청소하면 된다. 외부 공기가 실내로 들어가는 유입구 역할을 하는 곳인데, 그곳에 방치된 낙엽이나 이물질이 냄새를 유발 할 수 있다. 또 다른 원인은 실내 대시보드에 있는 공조기 안쪽 에어컨 증발기에서 찾을 수 있다. 에어컨을 작동하고 끄는 과정을 반복하면서 수분이 맺힌 증발기에 세균과 곰팡이가 생겨 걸레 냄새가 나는 것이다. 이럴 땐 차 문을 모두 닫고, 공조 장치를 내부 순환모드로 작동시킨 후 히터를 약 10분정도 작동시키면 뜨기운 열이 증발기 내 수분을 증발시켜 곰팡이 증식을 예방할 수 있다.
두 경우 모두 해당하지 않는다면 에어컨 필터가 오래돼서 나는 냄새일 수 있으니 에어컨 필터 교체 시기를 점검해보는 것을 추천한다. 에어컨 필터는 주행 조건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3개월(계절이 바뀔 때) 또는 주행거리가 10,000km 이상일 때 교체 하는 것을 추천한다.
인상 쓰게 만드는 시큼한 냄새
식초처럼 시큼한 냄새가 나는 것도 차량의 이상 신호 일 수 있다. 발전기 불량으로 배터리가 과도하게 충전 되거나 내부에 있는 전해액이 누수된 경우 이 냄새가 날 수 있다. 배터리 주위에 액체가 묻어 있거나 접점 단지에 하얀 가루가 있다면 정비소에 가서 점검을 받아야 한다. 자동차 배터리는 3~4년마다 , 발전기는 80,000~90,000km를 주행했을 때 교체해 주는 것이 좋다.
비닐 타는 냄새
비닐이 타는 냄새처럼 플라스틱이 녹는 듯한 냄새가 나는 것은 주로 연식이 오래된 차에서 생기는 현상이다. 엔진룸 내 전기 배선에 이상이 생기면 이 같은 냄새가 날 수 있다. 엔진 등 고열을 내는 부품에 전기 배선이 닿으면서 비닐이 녹거나 누전됐을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화재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바로 정비소로 가서 점검을 받는 것이 좋다.
기름 타는 냄새
만약 차에서 엔진오일이 새고 있다면 기름 타는 냄새가 날 수 있다. 자동차의 각종 구동장치에는 방청과 윤활등을 위한 오일이 들어간다. 이 오일이 새면 엔진 열에 의해 타는 냄새가 날 수 있다. 또 누유된 엔진오일이 배기 부품에 닿으면 타는 냄새가 더 심하게 나면서 화재의 위험까지 있다. 엔진오일이 누유된 상태로 오래 주행하면 엔진오일이 부족해져 부품 윤활이 원활하게 되지 않아 엔진에 심각한 손상이 생길 수 있으므로 바로 정비를 받는 것이 좋다.
차 실내 휘발유 냄새
차에서 휘발유 냄새가 났다면, 연료 탱크 및 라인 누설, 연료증발가스제어 장치 누설, 엔진 쪽 연료 누설이 발생했을 수 있다. 휘발유는 발화점이 낮아 쉽게 불이 붙기 때문에 엔진 내에서 누설 될 경우 치명적인 사고로 이어질 수 있어 빠른 점검을 받아야 한다. 디젤 차량의 경우 연료 라인 및 인젝터, 고압펌프 등에서도 연료가 샐 가능성이 있으니 휘발유 냄새가 난다면 이들 부품도 함께 사려 보는 것이 좋다.
에디터 한마디
위에서 언급한 냄새들은 차에서 맡을 수 있는 일반적인 냄새 혹은 방향제 냄새와 다른 불쾌한 냄새여서 조금만 주의를 기울이면 누구든 식별이 가능하다. 하지만 사람마다 냄새를 느끼는 정도와 판단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정확하게 차량에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 파악하는 것은 어려운 일 일 수 있다. 냄새가 나면 가까운 정비소에 최대한 빨리 들러 차량 점검을 받아보자. 한발 앞선 점검은 내 차를 아끼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면서 고장과 사고를 막기 위한 가장 효과적인 방법이다. 이 글을 읽고 뜨끔했던 분들이라면 자동차 매뉴얼을 펼쳐 내 차의 정기 점검 항목을 살펴보는 것은 어떨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