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클래스, E클래스, G클래스 등 알파벳으로 분류되어있는 벤츠 모델명은 소비자들이 보기에 “S클래스가 최고 좋고, E클래스가 그다음으로 좋은 차…?”와 같이 어렴풋이 아는 경우가 많다. 그리고 “CLS? GLS? 이건 뭐지?”하는 반응을 쉽게 볼 수 있다.
이는 자연스러운 반응이다. 자동차 마니아가 아닌 이상 생각보다 많은 벤츠 모델을 전부 알기란 쉽지 않기 때문이다.
벤츠가 사용하는 모델 작명법은 알파뉴메릭 방식 (alphanumeric system)으로, 차량 크기 및 기능을 중심으로 체계화 시켜 각 알파벳이 가지고 있는 의미를 알아둔다면, 어떤 점에 초점을 맞춘 차량인지 쉽게 알 수 있다.
벤츠의 알파뉴메릭 방식은 1994년까지 크기와 등급에 따라 각기 다른 알파벳을 붙이고 그 뒤는 배기량에 100을 곱한 숫자를 추가했다. 예를 들어 C220이면 C클래스 2.2L엔진 모델을 의미했다. 하지만 엔진 성능 개선 및 다운사이징 바람이 불면서 숫자와 배기량이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졌다.
E클래스를 예로 들면, E200 1,911cc / E220d 1,950 / E300 1,991cc / E350d 2,987cc / E400 2,996cc 와 같다.
이제 요즘 적용되고 있는 모델명에 대해 알아보자. 2015년 이후 벤츠 모델 작명 방식을 기준으로 보면, 각 알파벳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A클래스와 B클래스는 해치백 계열로, 그중 B클래스는 A클래스보다 좀 더 큰 모델이며, 다목적 차량(MPV)으로 분류하기도 한다.
C클래스, E클래스, S클래스는 모두 세단이 기본 모델로, 쿠페, 스테이션왜건, 카브리올렛과 같은 파생 모델이 있다. 이처럼 A, B, C, E, S는 벤츠 핵심 라인이다. 설명을 보면 알 수 있겠지만 특별한 뜻을 가지고 있지는 않으며 등급별로 나누어 놓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능에 따라 알파벳을 부여해 기존 모델들보다 좀 더 특별한 취급을 받는 경우도 있다.
G 라인을 우선 살펴보자. 가장 기본이 되는 G클래스는 독일어 Geländewagen(겔린더바겐)의 약자로, 오프로드 성격이 짙은 모델을 지칭한다.
GL의 경우 G클래스의 파생 모델 격으로, 독일어 Geländewagen + Leicht(라이히트 : 가벼운)의 약자다. 즉, SUV모델을 지칭하며 GL 다음에 붙는 단어들은 차량 크기와 관련 있다.
CL은 독일어 Coupe+Leicht 또는 Coupe+Luxusklasse(룩서스클라세 : 럭셔리한)의 약자이며, 경량/럭셔리 쿠페 정도로 이해하면 되겠다. 현재 출시 중인 모델로 CLS와 CLA가 있다. 간혹 Compact Luxury의 약자 아닌가 하는 의견이 있으나, CLS는 E클래스와 S클래스 사이 모델이기 때문에 적절한 표현으로 보기는 어렵다.
SL의 경우 Sportlich(스포틀리쉬 : 스포티한) + Leicht의 약자로, 경량 스포츠카를 지칭한다. 해당 라인은 SL클래스와 SLC가 있다. 1950년대 경주용 모델의 일반 도로용 버전으로 시작해 오늘날까지 이어져 오고 있다.
X는 최근 등장한 신규 클래스다. 일부는 “X 클래스가 있나?”라는 반응을 보일 것이다. 해당 클래스는 럭셔리 픽업트럭 모델에 해당하며 2017년 중순 처음 공개되었다. 때문에 특별히 관심 가지지 않았다면 모를 수도 있다.
지금까지 설명한 각 모델의 알파벳의 의미를 정리해보면,
체급 별 라인
A 클래스
소형 해치백 (B세그먼트)
B 클래스
A 클래스보다 큰 준중형 정도의 해치백/MPV (C세그먼트)
C 클래스
준중형급 세단(D세그먼트)
E 클래스
중형 또는 대형급 세단(E세그먼트)
S 클래스
대형급 세단(F세그먼트)
오프로드/SUV 라인
G 클래스(오프로드 모델)
독일어 Geländewagen(겔린더바겐)의 약자
GL- 클래스 (SUV 모델)
독일어 Geländewagen + Leicht(라이히트 : 가벼운)의 약자
쿠페 라인
CL- 클래스(쿠페 모델)
독일어 Coupe+Leicht 또는 Coupe+Luxusklasse(룩서스클라세 : 럭셔리한)의 약자
로드스터 라인
SL- 클래스(로드스터 모델)
Sportlich(스포틀리쉬 : 스포티한) + Leicht의 약자
럭셔리 픽업트럭 라인
X 클래스 럭셔리 픽업트럭 모델
여기에 롱 휠베이스 버전, 쿠페 버전, 카브리올레, AMG 등 세분화하면 수십 가지 모델로 분류된다. 때문에 복잡해 보일 수 있으나, 기본적으로 앞서 언급한 모델 별 의미만 잘 알아둔다면 쉽게 알아볼 수 있다.
참고로, A, B, C ,E ,S 모델은 보통 세그먼트로 분류하지만, 국내에서는 소형, 준중형 등 별도의 체급으로 부르기도 한다.
A, B, C, E, S, G? 너무 많아 헷갈리는 벤츠 클래스들!
글 / 다키 편집팀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콘텐츠 관련 문의 : carderra@naver.com
- 127년 대형 상용차 외길 인생, 귀족 기업 스카니아
- 주차장으로 바뀐 전기차 충전소, 떠도는 전기차 운전자들
- 1월 단 한 대 판매된 고가 모델, 어떤 것들이 있나?
- 다차로 하이패스, 편리함 외에도 숨은 장점이?
- 100년 보증기간 오프로드 모델? 무식하게 튼튼한 독일제 SUV 등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