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미국에서 새 차를 산 EV 소유 가정의 65.3%가 다시 전기차를 구매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전기차 재구매 비율은 지난해 48%에서 17%p(포인트) 가량 증가한 것이다. 유독 미국에서만 이런 결과가 나온것일까?
미국 전기차주들이 전기차 고르는 이유
전문가들은 이 현상에 대해 자동차업체와 미 연방정부가 전기차와 배터리 생산에 수십억 달러를 쏟아 부으면서 소비자들의 전기자에 대한 수용도 증가하고 있음을 말했다. 전기차 재구매가 증가하는 경향은 올해 내내 지속되고 있다”며 “이는 전기차에 미래에 대한 매우 긍정적인 신호”라고 말했다.
미국은 소비자들의 전기차 선택 면에서 현재 중국과 유럽에 뒤져있지만, 시장은 분명히 전기차로 옮겨가고 있다며 그 요인 중 하나로 전기차 모델이 다양해지고 있다는 점을 꼽았다. 미국 시장에 출시된 전기차 모델은 지난해 7월 27개에서 1년만에 45개로 늘었고, 2025년에는 150개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미국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지배력은 여전히 강력하며 구매자들의 브랜드 충성도 또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7월 등록된 전체 전기차 중 51%가 테슬라 모델Y와 모델3였고, 테슬라 자동차 보유자의 91%가 다음 구매에서도 테슬라를 선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기차주들의 반응은?
한국은 아직 전기차의 도입 단계다. 전기차의 종류가 크게 다양하지 않고, 국산차와 수입차 모두 하이브리드, 수소차, 전기차 등을 내놓고 있지만, 아직 전기차를 새로 사는 움직임이 많지는 않다. 가격적인 부분에서 지원을 받지만, 여전히 내연기관 자동차보다 비싸기 때문이다.
그렇지만, 아이오닉6, ID4 등 꾸준히 전기차 모델들이 한국에도 선보이고 있고, 더 많은 사람들에게 전기차 구매시 혜택을 주는 보조금 제도가 활성화 되고 있기 때문에, 한국의 전기차주들도 다음 차를 살때는 전기차를 고려하게 될 것으로 예측한다.
전기차의 장점은 워낙 많다. 내연기관 차에 비해 조용하고, 연료비와 유지비가 적게 들어간다. 차의 모양과 내부도 내연기관 차와 다른 모습을 보이고 있으며, 최신 기술과 장비가 종합적으로 들어가기 때문에, 기술의 최고봉을 가장 먼저 경험해 볼 수 있다는 부분도 있다.
전기차의 인기는 지속될까?
내연기관 자동차에서 탈피해 전기차로 전환하고 있는 것은 세계적인 흐름이다. 대부분의 나라에서 이미 친환경 에너지를 활용한 완성차를 제조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미국, 영국, 독일, 한국 등 완성차 제조사를 가진 국가들은 더 나은 기술을 적용한 신형 전기차를 끊임없이 선보이고 있다.
일본도 하이브리드를 고집하다가 전기차와 수소차 개발하겠다는 의지를 보이며 돌아서고 있다. 세계적인 흐름을 무시하지 못한 것이다. 일본이 내수시장만 고려했다면 하이브리드를 고집했겠지만, 해외시장의 흐름이 변하고 있는 것을 느꼈기 때문에 내린 결정으로 보인다.
중국은 이미 친환경 미래차에 대한 대비를 위해 전투적으로 움직이고 있다. 해외 유명 완성차 업체의 지분을 인수하거나, 부품사의 공장을 인수 하는 등 기술로 안되면 돈으로 사서 중국화 하는 중국다운 전략으로 승부하고 있다.
에디터 한마디
5년 뒤에는 이미 전기차가 일반적인 차로 정착될 것으로 보인다. 내연기관 차는 이제 특수 차량이나 중고차 시장에서 볼 수 있을 것이고, 전기차가 보편화 되면서 모두의 일상이 변할것이다. 그래서 아마도 한국에서 전기차를 샀던 차주들은 다시 전기차를 사게 되지 않을까?
전기차 겨울에는 스트레스 덩어리다.
비용신 차도엄씀서
전기차 충전하기 어렵네요.
충전할때가 업구요.
겨울에는 춥고 전기소모가 엄청납니다.
하이브리드가 낫다
차량의 주행질감 자체는 훌륭하나, 충전, 주행거리, 화재 문제가 해결이 안되면 결코 대세는 되기 힘들 겁니다.
발전소 자체도 친환경 발전이어야 의미있고요.
겨울철에 전기차 타보면 환장한다.
배터리 가격 알기나허냐
5년후 중고차값 폐차수준값 된다
난 전기차 안탄다.
지금 하이브리드인데
매우 만족한다.
전기차 타보지도 못한사람들
걱정이태산이여. 하늘이무너질까 어떻캐사냐.
재구매시 보조금이 나올까?
전기차 그냥 줘도 안탐.
전기차는 친환경차 인것은 좋으나,
사고발생시 배터리에 충격을 받으면 화재가 발생하고 진화에 어려움이 있어서 차안의 사람들이 생명의 위험이 크고,차문이 잠겨서
차유리를 깨서 열어야 하고, 배터리의 충전량이 적어서 주의가 뜨면
얼마 안있다 바로 시동이 꺼져서 경사면을 오르다 발생하면 대형사고의 위험이 있으며 겨울철에는 배터리문제로 시동거는데 애로가 많아서 미국도 대형차량들은 전부디젤이다. 전기차와 내연기관차가
적절히 운용이 되어야 무리가 없는것이다.
전기차 안전성과 저변이 마련되지 않는한 이딴 개똥 호도성 기사에 호락호락 전기차사서 베타테스터 호구되지않음
10년은 지나야 될 것. 지금처럼 인프라가 없는 상태에서는 수리도 어렵고 충전하는 것도 고생이다. 자기 동네에 전기차 수리 가능한 카센터가 생기지 않는한 더 이상의 보급은 무리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