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는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 현지 공장의 운영을 3월부터 중단했다. 자동차를 더이상 생산하지 않고 있고, 사실상 판매도 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에 현대차그룹은 러시아에서 나온 손해를 다른 글로벌 시장을 통해 극복하겠다는 심산이다.
러시아에서의 현대차
현대차그룹은 이미 심각한 영향을 받고 있다. 현대차 러시아법인(HMMR)에 따르면 9월 현지 판매량은 8월에 이어 두 달 연속 ‘0’대를 기록했다. 올 1월 1만7649대에서 전쟁 직후 3월 3708대로 급감한 뒤, 7월 14대로 줄어들다 급기야 8월과 9월에는 ‘0’대 성적표를 받아든 것이다. 올해(1~9월) 누적 판매량도 4만3634대로 전년 동기와 비교해 70% 넘게 줄었다.
하지만 현대차그룹 입장에서 러시아 시장은 쉽게 포기하는것은 어렵다. 현대차 러시아 법인은 미국, 인도, 체코 등과 함께 글로벌 주요 생산거점으로 연간 25만대 수준의 생산 능력을 갖추고 있다. 업계에서는 현대차그룹이 철수를 결정한다면 약 3조원에 달하는 자산과 최근 대규모 투자가 모두 ‘매몰 비용’으로 이뤄질 것이라고 보고 있다.
러시아 정부의 강제매각이 이뤄질 수 있다는 점도 걱정이 된다. 만약 강제매각이 진행되면 보유 현금과 처분 가능 자산은 제한적인 반면, 상환해야 할 비용과 손망실 될 자산이 크기 때문에 큰 피해를 받을 전망이다. 이미 폭스바겐, 베르세데스-벤츠, 르노 등이 공장을 러시아현지에 연계된 딜러사나 러시아 회사에 매각하고 나가고 있는데, 현대차가 버티다 보면 강제매각까지 가게 되는 것 아니겠느냐는 것이다.
현대차가 버티는 이유는?
다수의 전문가들은 매각이나 철수보다는 현재 현대차그룹이 구사하고 있는 ‘버티기’ 전략이 주효 할 수 있다고 말한다. 앞서 현대차그룹은 2014년 러시아 경제위기 때 다른 회사들이 철수 했지만 홀로 버틴 전력이 있다. 그리고 지난해 8월, 결국 처음으로 러시아 시장 점유율 1위를 이뤄낸 바 있다. 한 전문가는 “현대차그룹은 이전에도 의리를 지킨 경험이 있기 때문에 러시아 정부에서도 쉽게 강제 매각이나 합병을 진행하지는 않을 것”이라며 “전쟁이 언제까지나 계속될 것은 아니기 때문에 전쟁 이후 시장 선점을 위해 지금은 인내해야 할 때”라고 말하기도 했다.
현대차는 실제 러시아에서의 리스크를 미국, 중국, 일본 등에 적극적으로 진출하며 보완하고 있다. 올해 초 미국에서 현대차는 35년만에 혼다를 제치고 판매 5위에 올랐고, 10월에는 조지아주에 전기차를 생산하는 전용 공장을 세웠다. 이 공장에서는 연간 30만대 이상의 전기차를 생산할 수 있고, 이에 더불어 2025년에는 추가 생산을 위한 증설을 검토하고 있다.
중국에서는 현대차의 또 다른 친환경차 사업인 수소차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물론 전기차로도 진출해 있지만, 수소차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해 광둥성 광저우시에 세계 최초로 수소차 시범지구를 조성하는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주 내용은 중국 광동성 광저우개발구 20만7,000㎡(6.3만평) 규모의 부지에 해외 첫 연료전지시스템 생산공장이자 중국 첫 대규모 연료전지시스템 전용 공장인 HTWO 광저우를 세우는 것이다. 지난해 3월에 이미 착공했으며 올해 안에 완공할 계획이다. 연간 생산목표는 총 6,500기다.
그리고 11월, 현대차가 13년 만에 전기·수소차 등 친환경차 중심으로 일본 시장에 재진출하겠다는 발표를 했다. 2035년까지 100%전기차 전환을 발표한 일본정부에 계획에 맞춰, 친환경차로 다시금 일본시장에 도전하겠다는 의지다. 일본은 현재 토요타, 혼다, 닛산 등의 자동차 제조사를 보유하고 있지만, 전기차 시장에 뒤늦게 진입한 후발주자로 이렇다 할 상품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 시장을 현대차가 선점하여 일본에도 자리 잡겠다는 것이다.
현대차그룹과 글로벌 시장
사실 지금까지 나온 현대차의 글로벌 전략은 대부분 미래를 위한 ‘투자’다. 당장에 이익이 나는 것이 아닌, 큰 투자에 가깝다. 러시아시장은 공장을 가동하고 생산하고 있었기 때문에 이윤으로 이어질 수 있었지만, 당장 미국과 중국에 투자한 부분은 바로 이익이 되지 않는다. 그렇지만, 더 거대하고 큰 그림을 보는 것은 맞다. 올해 글로벌 자동차 판매량 3위를 기록하며 이미 성장하고 있음을 입증한 현대차그룹이다.
현대차는 긍정적인 방향으로 발전하며 친환경차가 주류가 될 시대를 내다보며 투자를 이어가고 있다. 그런데 후발주자들도 무섭게 발전하고 있다. 토요타, 폭스바겐, 스텔란티스 등 대부분 전기차로의 전환과 개발을 선언하며 전기차를 선보이고 있고, IT기업, 모빌리티 기업 등도 전기차에 도전하고 있는 시대다. 때문에 누가 친환경차 시대의 패권을 쥐게 될지 아무도 알 수 없는 상황이다.
현재 전기차 시장 1위를 기록하고 있는 테슬라도 판매량이 떨어지기 시작했다. 때문에, 현대차도 광범위한 투자가 거대한 수익으로 이어질 수 있는 전략으로 승부해야 할 것이다.
에디터 한마디
현재 발전중인 글로벌 친환경차 시장에서 테슬라의 위치가 영원할 것 같았지만, 서서히 다른 제조사들이 등장하면서 어떻게 될 지 모르는 각축전으로 넘어가고 있다. 현대차도 탄탄한 계획으로 글로벌시장을 선점하며 좋은 결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근데, 진짜 시장을 알고 쓰는건지,
그냥 일기를 쓰는건지,,
글로벌 자동차사들 손실때문에 철수하는거로 보이냐? 전쟁광 러시아에서는 더 이상 사업도 판매도 안한다는 평화시위에 동참한거지 현기만 버젓히? 러시아는 모르지만 전세계는 비난할지도 맥도날드가 매장 철수한건 이런 나라에서 사업하기 싫다는건데
정말이지 뭘 알고 글을 쓰는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