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를 알아보는 데 필수인 주행거리
기준이 되는 측정 방식이 달라 혼란만 가중
주로 사용되는 측정 기준은 무엇?
전기차가 출시되었을 때, 소비자를 혼란에 빠뜨리는 것이 있다. 바로 주행거리다. 언론 기사를 보면 분명 같은 차량인데, 주행거리가 차이가 꽤 날때가 있다. 가령 A는 400km라고 하는데 제조사는 500km라고 말을 한다. 여기서 가장 큰 혼란은 바로 어떤 게 맞냐고 물어보면 모두 맞다고 답변을 들을 때이다.
주행거리가 이렇게 차이가 나는 이유는 무엇일까? 답부터 얘기하면 주행 거리 측정에 사용된 기준이 어느 나라 기준이냐에 따라 결과값은 눈에 띄게 달라진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만 해도 전기차 주행거리를 언급할 때 국내 기준 외에도 유럽, 미국 기준이 많이 언급된다.
[글] 배영대 에디터
업계에서 우리나라 주행거리 측정 기준은 유럽과 미국보다 엄격하기로 유명하다. 환경부 관계자에 따르면 기준을 미국의 EPA를 사용하지만, 급가속, 급감속, 겨울철 주행, 에어컨 모드 등 몇가지 상황이 더 추가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굳이 상황을 더 추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이는 계절과 연관이 있다. 우리나라는 사계절이 비교적 뚜렷한 나라다. 때문에 테스트 시 보다 더 다양한 주행 환경에서 진행을 해야 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유럽에서 400km 대 나름 괜찮은 주행거리를 기록했더라도, 우리나라에 들어오면 300km 초 중반으로 떨어질 때가 있다.
그렇다면 주행거리 인증에 환경부 기준만 사용하는 것일까? 물론 아니다. 환경부 기준외에도 산업부 기준이 따로 있다. 전반적인 기준은 비슷한 편이나, 좀 더 보수적인 기준을 적용함으로써 주행거리가 환경부보다 더 짧게 나오는 경우가 있다. 아니, 환경부도 짧게 나오는데, 더 짧게 나온다니 이유가 뭘까? 이유는 의외로 단순했다. 제도사들이 전비 측정값을 좀 더 보수적으로 잡아서 산업부에 제출하기 때문이다.
이러는 이유가 있을까? 물론 있다. 만약 실제 전비와 측정값에 차이가 클 경우 과태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이점을 고려했을 때 전문가들은 산업부의 기준을 적용해야 보다 더 현실적인 전기차 주행거리를 기대할 수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로 현대차그룹은 최근에 출시되는 전기차에 산업부 기준을 적용해 솨제가 되기도 했다.(참고로 테슬라도 한 때 산업부 기준을 적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국은 그들의 환경보호청 기준인 EPA를 사용한다. 측정 방식은 어떨까? 이 방식은 전기차 배터리를 완전 충전을 시킨 다음, 밤새도록 주차를 한 후 주행 테스트를 진행한다.
먼저 시내 주행 테스트는 뉴욕과 LA 지역을 가정하여 진행된다. 고속 주행 테스트의 경우 정차 없이 시속 50km에서 100km 사이에서 주행을 하면서 진행된다.
두 개의 테스트를 통해 나온 주행 데이터는 도심과 고속 테스트의 평균 값을 5.5 대 4.5비율로 나눈 뒤, 마지막에 이 값의 70% 수준만 사용한다. 이유로는 전기차에 가해질 외부 환경요인을 최대한 적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예를 한번 들어보자. 외부 온도에 따라 배터리 상태와 에어컨, 히터 같은 공조 기능을 이용할 경우, 평소보다 에너지를 더 많이 소모할 수 있다. 이 때문에 기아 EV6의 경우 후륜 롱레인지 모델의 주행거리는 EPA 기준 499km이지만, 다음에 나올 WLTP 기준으로 하면 528km로 수 십 km 넘게 차이가 난다.
주행 거리 측정 기준을 언급할 때 빠지지 않는 나라가 있다. 바로 유럽이다. 유럽 주행거리 기준으로 ‘NEDC’와 ‘WLTP’ 두 가지가 있다.
먼저 NEDC는 국내 소비자들에게는 다소 생소한 기준일 것이다. 이것은 유럽에서 오래전부터 사용해온 차량 연비 측정 방식이다. 유럽에서 80년대 처음 시작된 후, 현재는 세계적으로 널리 사용중에 있다.
측정은 다른 기준과 마찬가지로 도심과 외곽도로를 기준으로 시뮬레이션을 돌린다. 이 때 ECE와 EUDC 두 가지를 중점적으로 테스트한다. 먼저 ECE는 복잡한 시가지 주행을 가정한 테스트로 주로 파리나 로마같은 도시를 예로 잡는다.
EUDC는 고속도로 주행을 위한 테스트다. 초기에는 기준이 내연기관차용으로 만들어졌으나, 이후에는 전기차 측정에도 할용되고 있다. 이 방식은 한가지 특징이 있다. 바로 부하가 걸리는 테스트가 많이 없어서 상대적을 주행거리가 길게 나온다는 점이다. 이 때문에 일부 브랜드는 NEDC 기준을 공식 줗애거리로 올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 실제 주행 상황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 되면서, 결국 개정판 격인 WLTP라는 기준을 적용하기 시작했다.
이후에 나온 WLTP는 측정거리가 두 배 가량 늘었고, 평균 테스트 주행속도 역시 눈에 띄게 빨라졌다. 여기에 다양한 주행 환경을 고려해 새로운 기준도 추가되었다. 어러한 이유 때문일까? WLTP로 주행거리를 측정하게 되면 NEDC 기준보다 짧게 나온다.
실제로 현대차의 구형 코나 일렉트릭의 경우, NEDC 기준으로는 무려 546km가 나왔지만 WLTP는 482km로 확 줄게 되었다.
전기차 구매 할 때 주행거리는 빼놓을 수 없는 체크 포인트다. 만약 오늘 글을 읽은 뒤라면 누군가 주행거리를 말해줄 때, 어느 나라 기준인지 역으로 물어보는 것은 어떨까? 만약 상대방이 유럽 기준으로 말한다면 거기서 거기서 50~100km 정도를 뺐을 때 우리가 생각하는 주행거리를 가능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