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오닉5 시속 64km로 충돌, 결과는?
현대차그룹의 충돌 안전성 테스트
이번 충돌 테스트는 전기차 충동 위험성 의식한 행보?
지난 12일 현대차는 아이오닉 5의 충돌 안전 평가를 진행했다. 이날 테스트는 2024년형 아이오닉 5의 64km/h 40% 옵셋 충돌로, 차량 전면 40%를 벽에 충돌시켜 차량 내 승객의 충돌 안전성을 확인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운전석에는 일반 남성 체형의 더미가, 뒷좌석엔 여성 체형의 더미가 착석했다. 카운트다운과 함께 64km/h로 달려온 아이오닉 5가 100t 구조물에 충돌했다. 범퍼와 휠 하우스를 포함한 차량 전면부는 형체를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파손됐고 앞 유리는 금이 갔으며 바퀴와 타이어도 터졌다.
하지만 내부 캐빈룸은 멀쩡했다. 자리에 착석하고 있던 더미 역시 전혀 손상되지 않았다. 그리고 최근 전기차 충돌에 있어 이슈를 불러 모은 도어 개폐 여부도 문제없었다. 외부에서 4개의 문과 트렁크도 정상적으로 열렸다.
현대차가 밝힌 이번 시험 결과에 따르면 운전석 에어백, 측면 에어백, 커튼 에어백 등 더미가 있는 곳의 에어백은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했다. 도어 개폐 여부만큼이나 배터리 화재 여부도 주목받았다. 검사 결과 고전압 절연저항 측정 결과도 모두 정상이었으며 고전압 배터리 파손으로 인한 전해액 누유나 화재도 발생하지 않았다.
[글] 박재희 에디터
현대차가 진행하는 충돌 테스트는 차종 당 100억 원가량 비용이 투입되는 것으로 알려졌다. 충돌 테스트 장은 바닥이 투명한 아크릴 창으로 돼 있어 하부에서 동영상 촬영도 가능하다. 1개 차종당 100여 회의 테스트가 진행되며, 테스트와 분석에 4000시간이 소요된다.
슈퍼컴퓨터를 이용한 ‘가상 충돌 시뮬레이션’도 시행한다. 물리적 실험이 실제 사고의 모든 경우의 수를 구현하지는 못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연석 등 장애물에 부딪히거나, 트럭에 깔리는 상황을 가정한 다양한 ‘복합 충돌’이 매일 100회, 연간 3만회 이상 행해진다.
또한 분석 검증을 위해 인체 모형(더미)에 적용된 센서를 활용한다. 상해 데이터를 계산하고 차체 변형 정도를 계측해 차량 안전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는 것이다. 인체 모형을 27종 170세트 보유하고 있는 현대차그룹은 다양한 체구의 인체 모형을 충돌 시험에 활용하고 있다.
최근 화재는 전기차 안전에 있어 최대 변수로 떠올랐다. 전기차는 충돌 후 화재가 발생하는 것뿐만 아니라 화재가 한번 발생하면 진압이 쉽지 않기 때문에 시민들에게 공포의 존재로 각인되는 추세다. 일부 지역에선 지하주차장에 전기차 진입을 금지하는 사례도 찾아볼 수 있었다.
이를 위해 현대차는 화재가 나기 전 미리 진단해 알리는 기능이나 화재 시 열폭주를 방지하는 기술도 연구하고 있다. 또 현재는 64km/h 수준에선 안전이 99% 보장이 가능하기 때문에 100km/h에서도 안전을 보장할 수 있도록 테스트와 연구를 활발히 진행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현대차가 지금 시점에 충돌 시험을 진행하고 그 결과를 직접 공개한 배경은 전기차 안전성에 대한 자신감을 보여주기 위함으로 풀이된다. 연이어 발생한 전기차 충돌 및 화재 사고가 여러 우려를 불러일으켰지만 업계 선두주자인 현대차가 직접 나서 안전에 대한 품질 검증 과정을 가감 없이 보여준 것이다. 다만 현실에서 일어나는 사고의 경우 시속 64km를 훌쩍 넘는 경우가 많다는 점에서 이번 테스트가 다소 아쉬운 것이 사실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