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요 제조사, 소형 전기차 개발에 집중
기아 소형 및 준중형 전기차 개발 중
테슬라 모델2 2025년 출시 예정
현대차와 기아, 테슬라 등 주요 제조사들이 신형 소형 전기차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동안 중형급 이상 전기차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소형 전기차와 준중형 사이즈 전기차 라인업을 강화할 예정인 것이다. 현재까지 출시된 전기차는 내연기관차 대비 가격이 비싸, 진입 장벽이 높은 편이다. 물론 보조금 등 여러 헤택이 적용되어 큰 폭의 할인을 기대할 수 있지만 여전히 비싸다. 이런 이유로 보다 합리적인 가격의 전기차 개발을 통해 전기차 고객을 늘리고 이로인한 시장 확대를 꾀하고 있는 것으로 생각해볼 수 있다. 특히 자동차 수요는 있지만 구매력이 약한 개발도상국을 대상으로 전기차 시장선점을 꾀할 수 있다.
[글] 이안 에디터
최근 기아는 노사 간 고용안정위원회에서 공장별 신차 생산 시기를 확정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중 새로 생산하는 모델들에 이목이 집중되었는데, 2024년 소형 전기 CUV인 EV3, 준중형 전기 SUV EV4가 생산될 예정이다. 현재 EV6 홀로 생산중이며 EV9는 조만간 출시된다. 한편 현대차 역시 라인업을 확대할 예정이다. 현재까지 아이오닉 5와 아이오닉 6가 생산중이고, 2024년 캐스퍼 일렉트릭이 등장할 것으로 알려졌다. 그밖에 대형 전기 SUV인 아이오닉 7이 출시 예정이다.
현대차와 기아는 순수 전기차외에도 하이브리드 모델에도 집중한다. 올해 하반기, 기아는 카니발 하이브리드를 생산할 예정이며, 쏘렌토, K5의 페이스리프트 모델도 올해 예정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2024년에는 K8과 EV6 페이스리프트가 예고됐다. 전반적으로 2023~2025년 사이는 신차로 풍성한 한 해를 마지알 것으로 기대된다.
한편 테슬라 역시 시장 점유율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소형전기차를 출시할 예정이다. 해외 매체에 따르면, 테슬라는 모델2라는 명칭의 소형 전기차를 개발 중인것으로 알려졌다. 이 차의 가격은 놀랍게도 한화 3200만원 수준이며, 가격 인하를 위해 리튬인산철(LFP) 배터리를 장착한 것으로 알려졌다. 리튬인산철 배터리는 일반 전기차에 사용되는 리튬이온 배터리 대비 저렴하지만 에너지 밀도가 낮다는 단점이 있다. 다만 기술의 발전으로 주행거리를 어느정도 보장할 수 있고 안정성이 우수하며, 충전 속도 역시 느리지 않아, 보급형 전기차에 주로 장착됐다. 테슬라 역시 이런 장점에 주목한 것으로 보인다.
경기불황의 여파로 값비싼 전기차 대신 가성비 모델을 선호하는 소비자들이 점점 늘고있다. 향후 전기차 신차만 판매하는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기 때문에 소비자 입장에선 어절 수 없이 전기차를 사야한다면 최대한 저렴한 모델을 찾는 합리적인 소비를 할 수 밖에 없다. 다만 과거에 공개되었던 경형~소형 전기차는 아쉬운 성능과 상품성 때문에 외면 받았다. 그나마 유럽에서는 씨티카로 각광 받았지만 모두가 그런 건 아니었다.
현재 주요 제조사들이 소형~준중형 전기차에 집중하면서 과거의 아쉬운 점을 상당부분 해결할 것으로 예상된다. 준수한 디자인과 풍부한 사양, 그리고 넉넉한 주행거리까지 기술의 발전으로 이전보다 많은 것들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다만 이런 식으로 전기차가 보급되면,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이 분명한데 전기차 인프라가 신규 전기차 등록대수를 감당할 수 있을지 미지수다. 과연 앞으로 등장할 신차들이 인기를 끌지, 그리고 별 탈없이 전기차 인프라가 운영될 수 있을지 좀 더 지켜볼 필요가 있겠다.
ㅂㅅ들 많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