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크 동커볼케 최고창의책임자(CCO), X 컨버터블 양산 가능성 암시
실현된다면 X 컨버터블은 현대차 첫 양산 오픈카
X 컨버터블 공개 당시에도 독보적 디자인으로 호평 이끌어 내

제네시스가 작년 11월 미국에서 공개한 ‘X 컨버터블’ 콘셉트 모델이 양산될 예정이다. 당시에는 양산 가능성이 제로에 가깝다는 여론이 지배적이었으나, 지난 26일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에 따르면, 루크 동커볼케 현대차그룹 최고창의책임자(CCO)가 제네시스 딜러들을 대상으로 X 컨버터블을 양산한다고 밝힌 것이다.  

이로써 X 컨버터블은 현대차 그룹 최초의 오픈카가 될 것으로 보인다. 미국 제네시스 딜러 자문위원회 피터 란차베키아 회장은 X 컨버터블의 양산을 긍정적으로 받아들였다. 그는 “X 컨버터블이 20만달러(약 2억5000만원)를 넘을지, 30만달러(약 3억7000만원)를 넘을지 모르겠다”면서도 “X 컨버터블이 전시장에 나오면, 많은 벤틀리 컨티넨탈 컨버터블 차주들이 트레이드인(타던 차를 중고차로 넘기고 추가 할인을 받는 방식)으로 X 컨버터블을 구매할 것으로 장담한다”고 자신했다. 

  

이어 X 컨버터블은 제네시스의 진정한 플래그십 모델이 될 것”이라면서 “판매량은 적겠지만, 제네시스가 진정한 럭셔리 브랜드라는 인식을 주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글] 박재희 에디터

  

X 컨버터블은 2도어 하드탑 컨버터블 전기 콘셉트카다. 아직 모터나 배터리 성능 등은 자세히 공개되지 않았지만 제네시스 고유의 디자인을 효과적으로 소화하며 공개 당시에도 해외에서 폭발적인 관심과 호평을 이끌어 낸 바 있다. 

동커볼케 CCO는 X 컨버터블에 진심이었다. 작년 발표 현장에서 그는 “’엑스 콘셉트 시리즈’를 다양한 형태로 만들어낼 수 있게 한 유연성은 제네시스 브랜드만의 특별함”이라며 “이번 컨버터블 콘셉트에는 운전의 즐거움과 감각적 경험에 초점을 맞춘 디자인으로 고객 니즈를 적극적으로 반영하고자 하는 제네시스의 의지를 담고자 했다”고 말했다.

  

또 현실적으로 양산이 쉽지 않음에도 불구, 차량의 양산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양산을) 실현하기 위해 엄청난 에너지를 쏟고 있다”며 “전기차는 섹시할 수 없다고들 하지만, 제네시스는 정 반대의 모습을 보여줄 것”이라고 말해 남다른 애정을 드러내기도 했다.

  

X 컨버터블은 ‘역동적인 우아함(Athletic Elegance)’을 담고 있는 동시에 컨버터블답게 ‘하드탑 문루프(hardtop moonroof)’를 통해 뛰어난 개방감을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다. 자동차 천장을 열지 않더라도 차 내부로 햇빛이나 달빛이 자연스럽게 들어온다. 지붕을 여닫을 수 있는 컨버터블 특성을 활용해 ‘자연환경과 교감하는 운전 경험’이라는 제네시스의 전기차 디자인 방향성을 담아낸 대목이다.

전면은 제네시스의 크레스트 그릴(방패를 연상시키는 모양 그릴)을 두 줄 헤드램프로 재해석했다. 긴 보닛과 짧은 프론트 오버행, 여유 있는 대시 투 액슬(dash to axle) 및 긴 휠베이스로 위엄 있는 모습과 안정감 있는 비례를 자랑한다. 또 후드에서 시작하는 ‘파라볼릭 라인(Parabolic Line)’은 벨트라인을 지나 후면부 끝까지 완만하게 곡선을 그리며 우아함을 발산한다. 

  

이어서 후면부에는 두 줄의 쿼드 테일램프와 트렁크 끝에 ‘V’자 형태의 브레이크등을 적용해 제네시스의 정체성을 강조했다. 실내 공간은 철저하게 운전자 중심이다.  한국 전통 가옥의 지붕에서 영감을 얻은 두 가지 컬러 ‘기와 네이비’와 ‘단청 오렌지’의 조화를 통해 시각적 만족감을 이끈다. 

  

제네시스는 엑스 콘셉트 시리즈를 다양한 형태로 선보이는 유연성을 통해 고객의 니즈를 파악하고 있다. 이번에 양산 소식이 들려온 엑스 컨버터블은 제네시스를 넘어 현대차가 글로벌 제조사로서 한 단계 더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3
+1
14
+1
3
+1
1
+1
7

5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