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U, 2035년 내연기관 판매 금지 법안 승인
중국에 이어 세계 2번째 규모 유럽의 전기차 선언
국산 전기차에게는 기회와 위기 공존

[글] 박재희 에디터

2035년부터는 유럽에서 내연기관 신차 판매가 금지될 전망이다. 지난 14일 월스트리트저널(WSJ)에 따르면 유럽의회가 지난해 EU 회원국들이 승인한 탄소 배출 규제 합의를 담은 법안을 승인했다고 전했다.

이에 따라 자동차 제조업체들은 2030년까지 휘발유나 디젤을 연료로 쓰는 승용차와 승합차의 탄소 배출량을 2021년보다 각각 55%, 50% 줄여야 한다. 또 2035년부터는 탄소 배출이 없는 신차만을 내놓아야 한다.

사실상 2035년부터는 EU 지역에서 휘발유나 디젤을 사용하는 내연기관 승용차 및 승합차 판매가 금지되는 것이다. 심지어 하이브리드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까지 포함되기 때문에 자동차 제조사들은 이에 대한 대비가 필요해졌다. 다만, 연간 1만 대 미만을 파는 제조사에는 2036년까지 내연기관차를 허용하는 예외규정을 뒀다.



EU이사회의 정식 승인을 기다리고 있는 이번 법은 3월께 실제 효력이 발효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EU가 내연기관 퇴출을 적극적으로 시행함에 따라 유럽의 전기차 전환 속도는 더욱 빨라질 전망이다. 이번 합의안에 대해 EU는 “내연기관 전면 퇴출에 우려의 목소리가 있지만 확실한 일정과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친환경차 투자와 개발, 보급에 확실한 동력을 줄 것”이라고 강조했다.



유럽은 중국에 이어 세계 제 2의 전기차 시장이다. 유럽에서 작년 자동차 판매량 중 전기차의 비중이 20%를 넘어설 정도다. 이처럼 거대한 시장이 전기차 선언을 현실화했다는 것은 글로벌 자동차 업계에 큰 울림을 전해주고 있다.

이번 법안 논의를 주도한 네덜란드의 얀 하위테마 유럽의회 의원은 “이번 규제는 2050 탄소중립 목표를 달성하는 데 핵심적으로 작용할 것”이라며 “무공해 차량의 구매·유지비를 낮추면서 업계의 불확실성을 해소하고, 무공해 차량 중고 매장이 더욱 빨리 활성화될 것”이라며 기대를 드러냈다.

반면, EU 결정에 독일과 프랑스 등 자동차 산업 비중이 높은 국가와 제조사들은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대표적으로 독일의 옌스 기세케 유럽의회 의원은 “전기차 가격 상승과 함께 내연기관차 생산에 종사하고 있는 수만 명이 일자리를 잃게 되면서 유럽 자동차 산업의 몰락을 가져올 것”이라고 경고했다.



한편 유럽의 내연기관차 전면 퇴출이 본격화하면 국산 전기차에게는 아무래도 기회와 위기가 공존하게 될 것으로 보인다. 현대차와 기아가 전기차 분야에서 기술적 성과를 내며 유럽 내에서도 입지를 탄탄히 하고 있지만 중국의 낮은 가격을 무기로 한 전기차 공세가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따라서 업계 관계자들은 국산 전기차가 유럽 프리미엄 브랜드의 모델 사이에서도 경쟁력을 갖출 수 있는 방법을 강구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앞서 현대차는 2030년 제네시스 100% 전동화 및 2035년 유럽 시장 100% 전동화를 선언한 바 있다.



EU는 2050년까지 역내 온실가스 배출을 실질적으로 제로로 만들겠다는 목표를 내걸고 있다. 지지의 응원과 회의의 시선을 동시에 받고 있는 EU가 과연 선도적으로 친환경 시장을 개척해 나갈 수 있을지, 그 과정에서 국산 전기차는 어떤 방향으로 발전해야 하는지 지켜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