픽업트럭 미드게이트 특허 제출한 포드
전에 없던 독특한 오픈 방식이 매력적
모든 라인업에 적용은 힘들다? 이유는?
지난달(1월) 포드가 미국 특허청에 제출한 기술이 화제를 모으고 있다. 제출한 것은 픽업트럭의 적재 공간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이것이 실제로 개발까지 된다면 픽업트럭도 SUV처럼 적재 공간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과연 그 기술은 무엇일까? 함께 살펴보자.
[글] 배영대 에디터
픽업트럭은 객실과 짐칸 사이에 별도의 패널을 배치해 그 경계가 명확히 나누어져 있다. 그런데 쉐보레 아발란치와 실버라도 EV 같은 일부 차종들을 보면 경계를 허문 경우도 있다. 이 차량들은 격벽을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게 해서 더 많은 물건을 실을 수 있도록 했다.
그런데 이번에 포드가 특허 신청한 미드게이트는 이와 조금 다른 구조를 가지고 있다. 2열 시트와 적재 공간 사이에 미드게이트가 자리한 것 까지는 동일하다. 그러나 이후 열리는 방식에서 차이가 있다. 포드는 격벽이 접히는 방향을 앞에서 언급한 두 모델과 달리 위로 올라가도록 했다. 전에 없던 새로운 방식 때문에 특허 신청 소식이 업계에 퍼지자 다들 놀랄 수 밖에 없었다.
그런데 미드게이트가 어떻게 위로 열리는 것일까? 공개된 자료에 따르면 비결은 뒷유리와 벽 사이에 심은 힌지에 있었다. 게이트가 위로 열리다 보니, 밑 부분을 개별적으로 움직여 커버 또는 작업대로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생겼다. 독특한 열림 방식 덕분에, 실제 차량에 이것이 적용되면 적재 공간 늘리는 방법도 경쟁 모델보다 쉬워진다.
아발란치와 실버라도 EV의 미드게이트를 열기 위해서는 2열 시트를 접고, 뒷유리 탈착 후 벽 안쪽에 수납한 다음, 마지막으로 패널을 내려야 한다. 반면 포드의 새로운 미드게이트는 벽과 뒷유리가 통째로 움직인다. 때문에 부품 일부를 떼거나 붙이는 과정을 굳이 하지 않아도 된다.
구조적 특성상 픽업트럭으로 차박을 즐기기란 쉬운 일이 아니다. 그런데 포드는 이번에 특허를 신청하면서 이 점 또한 생각한 듯하다. 업계에 따르면, 특허 제출 당시 포드는 미드게이트를 열고 시트 위에 매트리스를 얹은 그림을 함께 제출한 것으로 알려졌다. 설계도를 보면 차박, 캠핑을 염두에 둔 덕분에 꽤 인상적이다.
큰 문제 없이 특허 절차가 진행된다면, 소비자들 사이에선 기대되는 점이 하나 생긴다. 바로 향후 출시될 픽업트럭 라인업에 기본 적용이 될 지 여부다. 안타깝게도 포드가 제출한 자료를 라면 모든 픽업트럭에 미드게이트를 넣을지는 미지수다.
특허 신청서에 포드가 ‘보디-온-프레임 픽업트럭은 캡과 적재함이 붙어있지 않아 개폐식 미드게이트를 달기 어렵다’라고 설명했기 때문이다. 이게 팩트(fact)라면, 모노코크 또는 전기차 전용 플랫폼 바탕의 픽업트럭에서만 만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쯤되면 포드의 취미로 픽업트럭 특허 출윈이 될 듯 하다. 이번 특허 신청 외에도 포드는 트렁크 패널을 세 개로 쪼개고 경첩을 달아 아래는 물론 좌우로도 열 수 있는 테일게이트 특허와 적재함 전체 또는 일부에 자성을 띠어 물건을 고정하거나 끈을 조일 수 있도록 하는 적재함용 자석 특허 신청을 마쳤다. 어느새 자동차 업계에서 픽업트럭 또한 경쟁이 치열해진 가운데, 과연 이 특허들이 포드의 픽업트럭 실적에 큰 도움을 줄지 기대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