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CES 2023서 i 비전 ‘디’ 공개
투박한 디자인이지만 첨단 디지털 기술 탑재
인간과 교류하는 자동차 기대↑
BMW가 미래형 중형 세단인 BMW i 비전 ‘디'(Dee) 콘셉트카를 공개했다. 디는 디지털 이모셔널 익스피리언스(Digital Emotional Experience)의 줄임말이다. 운전자가 차와 감정을 교류하는 등 관계를 한층 더 가깝게 만든다는 의도를 엿볼 수 있다.
디는 BMW의 기술 비전을 제시하는 모델이다. 대표적으로 헤드업 디스플레이를 예로 들 수 있다. 확장된 ‘어드밴스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는 지금의 운전석 전방에만 조그맣게 운행 정보가 투영되는 것에서 나아가 차량 윈드스크린 전체로 범위가 넓어졌다. 이를 통해 탑승자에게 더욱 다채로운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한다. 2025년부터 출시 예정인 BMW 뉴 클래스 제품군에 적용될 예정이다.
어드밴스드 HUD와 함께 혼합 현실 슬라이더는 핵심 기술을 담당한다. 운전자는 인스트루먼트 패널의 샤이 테크 센서를 이용해 어드밴스드 헤드업 디스플레이에 표시되는 정보의 범위를 설정할 수 있다.
설정 시스템의 범위는 아날로그부터 주행 관련 정보, 통신 시스템 내용, 증강 현실 프로젝션, 가상 세계 진입 등 다섯 단계로 나뉜다. 또 창을 통해 외부에서 들어오는 빛의 밝기를 조절할 수 있어 가상 현실에 최적화된 환경을 조성할 수 있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현실과 가상을 넘나드는 새로운 차원을 개척했다는 설명이다.
[글] 박재희 에디터
하지만 디의 외관 디자인은 미래지향적이라고 보기엔 다소 무리가 있다. 일반적인 콘셉트라고 한다면 화려한 공기역학적 구조와 디자인 등이 떠오르기 마련이지만 디의 첫인상은 무난한 3박스 세단 외모에 BMW의 정체성 정도만 가미된 모습이기 때문이다. 디지털 경험에 집중하기 위해 내외관의 디자인적 요소를 최소화한 영향이다.
디는 카멜레온 차라고도 불린다. BMW가 앞서 iX플로에 적용한 바 있는 전자 잉크 기술을 적용했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 외관 색깔이 자유자재로 변하며 매력을 더한다. CES 2022에서 공개한 iX플로는 흰색과 검은색, 회색을 오갔다면 디는 초록, 빨강, 노랑 등 보다 다채로운 색상을 구현한 것이 특징이다.
실내에는 차량 소재, 제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등을 최소화해 디지털 경험과 새로운 차원의 드라이빙의 즐거움에 집중할 수 있도록 했다. 스티어링 휠 중앙에는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난 세로형 스포크 디자인이 적용됐다. 운전자 손이 가까워지거나 터치가 될 경우 활성화되는 터치포인트를 구현해 엄지손가락 움직임만으로도 손쉽게 작동할 수 있다.
BMW가 디 모델을 통해 추구하는 또 다른 요소는 ‘인간 같은 자동차’다. 이를 위해 그래픽 요소와 라이트, 음향효과를 적극적으로 활용했다. 차량 외부에서부터 운전자를 반기는 ‘웰컴 시나리오’는 헤드라이트와 BMW 고유의 키드니 그릴을 여러 형태로 변화시킨다. 음성 언어로 운전자와 일종의 대화가 가능하고 기쁨, 놀람 등 차가 일종의 표정을 짓게 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지털화 기술의 잠재력을 최대한 활용해 차량을 운전자와 상호작용이 가능한 동료로 발전시키겠다는 BMW의 목표를 보여주는 대목 중 하나다.
올리버 집세 BMW 그룹 회장은 “이 같은 기술은 자동차 업계의 미래이자 BMW에는 운전의 진정한 즐거움과 가상 경험의 융합을 의미하는 동시에 노이에 클라세로 향하는 또 다른 발걸음이기도 하다”며 “이런 비전 아래 BMW는 미래에 한 발짝 더 다가갈 뿐 아니라 향후 출시될 차세대 모델과 관련해 디지털화 기술이 지닌 큰 중요성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탑승자와 상호작용하는 인간 같은 자동차, BMW가 이를 완벽하게 구현해 낸다면 모빌리티 기술에 있어 자율주행과는 또 다른, 한 차원 진보한 결과물이 될 것이다. 새로운 디지털 드라이빙 경험이 매우 기다려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