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MW 신형 그릴 디자인 개발중
각진 형태, 색다른 소재 활용. 신차 디자인 기대
전기차 전용 디자인 개발에 박차

아우디가 조명 장인이라면, 요즘 BMW는 전기차 디자인에 진심이다. 차량 표면을 카멜레온 처럼 다양한 색상과 모양을 표시할 수 있도록 외부 조명 패널 기술을 선보인 바 있다. 최근에는 새로운 특허를 공개해 주목받았다. 그릴-헤드램프-자율주행 센서를 하나로 통합한 전면부 디자인을 선보인 것인데, 발광 패널을 통해 그릴을 숨기거나 그릴 디자인을 새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글] 이안 에디터

신형 그릴 파츠의 전체적인 디자인은 BMW 고유의 헤드램프 실루엣을 유지하고 있다. 다만 미래지향적 분위기를 연출하기 위해 곡선보다 각진 형태로 키드니 그릴을 구성했다. 사실 이 파츠의 가장 큰 특징은 디자인 보다도 기능이다. 그릴을 구성하는 패널 표면의 재료는 불투명한 상태에서 투명하게 바뀌는 기능이 들어가있다. 이런 기술은 최근 BMW DEE 컨셉카에서 선보인 전면 발광 및 컬러 전환을 가능케 하는 전자 잉크 패널과 유사하다. 업계 전문가들은 이런 종류의 디자인 기술은 향후 BMW의 신차에 적용될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평가한다. 단순 컨셉에 그치지 않고 양산 단계까지 갈 것이라는 의미다.

한편 전기차 특유의 폐쇄형 그릴로 인해 냉각 기능이 떨어질 것으로 생각하기 쉬울것이다. 하지만 BMW는 이런 우려를 공기역학적 설계를 통해 해결하려 한다.

과거 자동차 디자인은 한계가 분명했다. 파격적인 디자인을 선보이려 해도 양산차에 적용하기에 생산단가가 맞지 않거나 구현이 어려운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최근 신차들은 컨셉카의 모습을 이어받거나 실내 기능이 컨셉카 급으로 보일 만큼 미래지향적이기도 하다. 심지어 아이오닉 시리즈처럼 픽셀 형태의 조명 디자인이 가능하고 100년 넘게 유지되던 사이드 미러가 카메라로 변경돼, SF 영화에서 볼 법한 느낌을 주기도 한다.

한편 외관 디자인의 경우 엔진이 사라지고 차량 구조가 완전히 바뀌면서 보다 자유롭고 획기적인 디자인을 구현할 수 있게 되었다. 최근 여러 제조사들이 내놓은 컨셉카나 양산차의 디자인이 예측 불가능한 이유이기도 하다.

BMW의 디자인에 대해 ‘물 올랐다.’라는 평을 남기는 마니아들이 많다. 키드니 그릴의 경우 클래식한 형태가 더 낫다는 평이 많지만 이외 부분은 오히려 벤츠보다 앞서 나간다는 평을 보이기도 한다. 물론 브랜드마다 지향하는 청사진 차이에 따른 결과이지만, 일반 소비자 입장에선 BMW에 좀 더 눈길이 갈 많다. 앞으로 남은 과제는 배터리와 모터 등 핵심 기술에 대한 고도화다.

최신 기술일 수록 브랜드 마다의 기술 격차가 얼마 차이나지 않기 때문에 의외의 브랜드가 상위권을 차지하기도 한다. 과연 BMW는 이번 특허 내 이미지를 양산차로 구현해 전기차 시장을 선도할 수 있을지 기대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0
+1
0
+1
0
+1
0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