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대형 SUV EV9 보조금 완전 적용 어려워
보조금 50%도 상한선으로 알려져
수입차 수준의 가격, 대중브랜드에 알맞은 것인지 논란

EV9

EV9

기아의 대형 전기 SUV EV9가 30일 경기도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2023 서울모빌리티쇼’에서 첫 공개되었지만, 보조금을 100% 적용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소식이 전해져 소비자들의 아쉬움이 이어지고 있다. 같은 날 송호성 기아 사장은 EV9의 가격과 관련해 “보조금을 100% 받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아직은 검토중에 있으니 조만간(발표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대신 “50%는 받을 수 있도록 하려 한다”며 “최대한 많은 트림에서 보조금을 받을 수 있도록 노력중”이라 언급하기도 했다.

EV9

이에 따라 기아 EV9의 시작 가격은 7천~8천만 원 선에서 책정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밖에 EV9 GT Line 부터 탑재될 자율주행 레벨3를 지원하는 HDP(고속도로 자율주행) 기능의 경우 순조롭게 준비중이며, 안전사항과 여러 도로 조건을 고려해 테스트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글] 이안 에디터

EV9
EV9

그렇다면 EV9의 보조금 기준은 어떻게 적용될까? 2023년 전기차 보조금 지급 기준을 살펴보면 가격이 5700만원 미만일 경우 보조금을 100% 받는다. 작년에는 보조금 전액 지급 지원기준이 5500만원 미만이었으나, 최근 원자재 가격 급등으로 배터리 가격이 인상되고 그에 따른 차량 가격 인상 압력이 높아짐에 따라 상향된 것이다. 대신 보조금 지원 상한선은 8500만원 이하로 유지됐다. 5700만원~8500만원 사이일 경우에는 보조금이 50% 지원된다. 한편 8500만원을 초과한 전기승용차에는 보조금이 지급되지 않는다.

EV9

특히 중·대형 전기차의 성능보조금 상한은 기존 600만원에서 100만원 감액될 것으로 알려졌다. 대신 감액된 만큼 보조금 지원물량은 전년도 대비 약 31% 늘린 것으로 알려졌다. 현재 보조금을 최대한 받으면 국고 보조금은 680만원 선이며 지자체 180만원이 추가된다. 하지만 EV9의 경우 국고 보조금 50%가 적용돼 340만원 이하로 책정될 가능성이 높다. 일부 고성능 모델은 전비등을 고려해 200만원 이하로 책정될 가능성도 있다. 

EV9

EV9

가격 논란이 있기는 하지만 전용 플랫폼이 적용된 최초의 대형 SUV인 만큼 우수한 디자인과 성능을 갖춰, 소비자들의 관심이 이어지고 있다. 이 차의 외관은 SUV 고유의 강인한 면모와 미래지향적인 감성을 두루 갖췄다. 전면부는 ‘디지털 패턴 라이팅 그릴’, ‘스몰 큐브 프로젝션 LED 헤드램프’, ‘스타맵 LED DRL’ 등 깔끔한 차체 면과 다양한 조명으로 미래 지향적 느낌을 구현했다. 특히 자율 주행이 가능할 것으로 알려진 GT Line에는 하단부에 라이다 센서가 부착되어 있다. 

EV9

정통 SUV를 지향하는 차체 비율로, 대형 SUV의 웅장함을 전달하는 측면부는 직선으로 구현한 다각형과 부드러운 볼륨감이 느껴지는 차체 면과의 대비를 통해 단단함과 고급스러움을 동시에 담아냈다. 후면부는 ‘스타맵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로 넓은 차폭을 강조하고 전면부와 통일감을 주며, 깨끗하게 정제된 면의 테일 게이트와 날렵한 엣지가 세련되고 강인한 모습을 완성했다.

EV9

실내를 살펴보면, 1열 대시보드에는 12.3인치 클러스터, 5인치 공조, 12.3인치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등 세 개의 디스플레이가 매끄럽게 이어진 ‘파노라믹 와이드 디스플레이’가 적용되어 있다. 특히 기아 브랜드 최초로 시동 버튼이 통합된 컬럼 타입 전자식 변속 레버가 적용됐다. 2열의 경우 글로벌 EV 모델 중 최초로 다양한 라이프 스타일에 맞춰 벤치 시트, 기본형, 릴랙션형, 스위블형 2인승 독립 시트 등 총 4가지 시트를 선택할 수 있도록 제공하여, 이동, 충전, 휴식 등 다양한 상황에서 탑승자들이 새로운 전동화 이동 경험을 누릴 수 있도록 했다.

플랫 플로어를 기반으로 한 3열은 내연기관 모델에 비해 개방감과 우수한 거주성을 제공하며, 2열과 함께 평평하게 접을 수 있어 다양한 활용이 가능하다.

EV9

EV9

EV9의 디자인, 공간성, 상품성은 큰 결함이 없는 한 호평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가격이 문제다. 5700만원 이상 8500만원 이하 가격대로 출시될 예정으로 전기차 보조금을 적용해도 5천만원 이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6천만원 이상인 카니발 하이리무진과 겹치는 가격대를 형성한다. 만약 소비자들이 EV9을 카니발의 대안으로 생각할 경우 그나마 가격 저항이 덜하겠지만, 아닐 경우 오히려 판매랑 저조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실제 판매 실적이 나올 때 까지는 EV9의 성공여부를 점치기 어렵다. 과연 EV9은 높은 가격에도 불구하고 준수한 판매량을 이어나갈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 기사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1
1
+1
0
+1
0
+1
4
+1
0

댓글을 남겨주세요.

Please enter your comment!
Please enter your name here